청양군은 14일 군청 대회의실에서 기자 브리핑을 열고 지천댐 건설에 대한 군의 공식 입장과 충남도의 청양군 추경 예산 삭감 조치에 대한 강한 유감을 표명했다. 아울러 환경부에 댐 건설 정책 방향의 조속한 결정을 촉구했다.
김돈곤 군수는 “국가적인 물 부족 문제 해결 필요성에는 공감하지만 지역에 일방적인 피해를 주는 댐 건설에는 반대한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지천댐 건설은 청양군이 요청한 사업이 아니라 기후 대응과 충남 서북부권 물 부족 해소를 위한 국가·도 차원의 사업이라는 점도 분명히 했다.
군은 지난해 9월 주민 우려와 요구사항 7개 항목을 환경부에 전달했고 올해 4월 하수처리시설·상수도 확충 등 구체 사업을 재차 건의했다.
5월에는 충남도에 대규모 실버타운 조성 등 지역 발전사업도 제안했지만 현재까지 환경부와 도의 구체적 지원 방안은 결정되지 않았다.
김 군수는 “기본 구상 용역 결과와 지역 발전 대책 반영 여부를 토대로 군민 의견을 수렴해 최종 입장을 결정하겠다는 방침을 수차례 밝혀왔다”며 충남도의 결정 지연 지적은 군의 상황을 무시한 부적절한 주장이라고 반박했다.
김 군수는 또 충남도가 지천댐 입장 표명 지연을 이유로 청양군 추경 예산 삭감을 발표한 것에 대해 “댐 건설 여부와 군민 생활 예산은 별개 사안”이라며 강력히 반발했다.
이어 “이는 지방자치와 예산 독립성을 심각하게 훼손하고 청양군민을 예산 볼모로 삼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특히 “인구 3만이 안 되는 청양은 소외해도 된다는 말이냐”며 충남도의 도민 평등 의식에 의문을 제기했다.
김 군수는 지천댐 건설과 관련해 “찬·반의 숫자보다 갈등 최소화와 지역 이익 극대화가 우선”이라며 환경부에 조속한 정책 방향 결정을 요구했다.
그는 “새 정부 출범 이후 신규 댐 건설 재검토 기조는 확인했지만 시기와 방법은 불명확하다”며 “군민 여론 분열과 갈등 장기화를 막기 위해 정책 결정을 서둘러야 한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김 군수는 “지역 여론이 찬·반으로 갈라져 대립이 심화되는 것은 미래 성장과 통합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환경부의 정책 결정을 지켜보면서 서로를 인정하고 배려하는 아량을 보여달라”고 당부했다. 이어 “군수로서 지역과 군민의 이익을 위해 끝까지 책무를 다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