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세계 첫 라이브 심사… 인류 공헌할 디자인 대상 가린다

  • 등록 2025.10.20 14:31:46
크게보기

10개국의 우수 디자인 프로젝트, 현장에서 직접 발표, 세계 최초 ‘디자인 라이브 심사’ 진행

 

전 세계 디자인상 가운데, 74개국이 941개의 작품을 출품하며 국제적 위상을 가장 확고히 증명해 온 상이 있다. 바로 서울이 세계의 디자이너를 발굴해 수여하는 '서울디자인어워드(Seoul Design Award)'다.

 

지속가능한 삶에 대한 창의적 해법을 찾아온 이 상은 올해로 7회를 맞으며, 다시 한번 서울을 세계 디자인 담론의 중심으로 끌어올린다.

 

서울디자인재단은 오는 10월 24일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서울디자인어워드 2025 TOP10 대상 결정전'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올해는 세계 최초로 ‘디자인 라이브 심사(Design Live Judging)’를 도입해 전문가와 시민이 현장에서 함께 대상을 선정한다.

 

서울디자인어워드는 사회적 가치와 지속가능성을 디자인으로 실현한 사례를 발굴하고 공유하는 글로벌 어워드다. 올해는 10개의 우수 프로젝트가 본선 무대에 올라, 심사위원과 시민 앞에서 직접 프레젠테이션을 진행하며 최종 심사를 받는다.

 

특히 올해는 UN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를 기반으로 ▲건강과 평화 ▲평등한 기회(유니버설디자인) ▲에너지와 환경(업사이클·리사이클) ▲도시와 공동체 등 4개 분야에서 74개국 941개 프로젝트가 출품돼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이는 서울디자인어워드가 지속가능한 디자인의 세계적 기준으로 자리매김했음을 보여준다. ‘지속가능한 디자인(Sustainable Design)’ 이란 단순히 예쁘거나 기능적인 디자인을 넘어서, 환경·사회·경제적으로 오래 지속될 수 있는 방식을 고려한 디자인을 말한다.

 

이번 본선 무대에는 10개국의 우수 프로젝트가 올라, 13인의 심사위원단과 시민 앞에서 직접 프레젠테이션을 진행한다.

 

심사위원단은 세계디자인기구(WDO) 회장이자 인도 디자인정책의 리더인 프라디윰나 브야스(Pradyumna Vyas)를 비롯해, 이탈리아 ADI 뮤지엄 관장 안드레아 칸첼라토(Andrea Cancellato), 지속가능 사회혁신 디자인의 세계적 석학 에치오 만지니(Ezio Manzini), 베를린디자인위크 대표 알렉산드라 클라트(Alexandra Klatt), 디자인싱가포르 카운슬 대표 던 림(Dawn Lim) 등 세계 각국의 디자인 리더들이다.

 

올해 본선에 오른 10개 프로젝트에서 주목할 점은 세계적으로 화두가 되고 있는 기후 재난 위기, 전쟁으로 인한 구호, 인권, 환경 폐기물 등의 문제를 다루었다는 점이다.

 

기후 재난 위기와 환경 폐기물 문제 해결 등의 솔루션으로 중국 최초의 사막 환경에 적용한 3D 콘크리트 프린팅 구조물인 중국의 사막의 방주(Desert Ark), 인도의 심각한 도축장 닭 깃털 폐기물을 천연모직섬유로 업사이클링한 인도의 재생 깃털 섬유(Golden Feathers), 전시 후 자재를 반납해 폐기물을 줄이고 자원 순환을 실현한 대만의 순환의 전시(The Borrowing Project), 업사이클링한 조명 부품과 재생 가능한 천연 왁스 블렌드를 결합한 덴마크의 되살아 난 빛(Soft Solids Lighting), 방치된 도시 공간을 문화유산과 예술로 재탄생시킨 멕시코의 원주민 예술 도시(The City of Indigenous Arts),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친환경 파빌리온을 조성한 핀란드의 알루스타 파빌리온(Alusta Pavilion for Multispecies Encounters), 여성 인권 억압의 상징인 히잡을 업사이클한 호주의 해방의 좌석(Crafted Liberation) 프로젝트가 선보였다.

 

도시와 공동체의 지속가능성을 모색한 프로젝트들로 모듈식 태양광 충전 허브와 교체형 배터리 임대 시스템을 통해 농촌 지역의 에너지 순환 생태계를 구축한 나이지리아의 자자 에너지 허브(Jaza Energy Hubs), 취약계층에 보급을 위해 응급요람 등을 지역 생산과 재활용 자재로 제작한 이탈리아의 아나코-긴급 요람(Anako-Emergency Folding Cradle), PET 병뚜껑을 대체하는 자외선 캡을 활용해 라오스의 위생 문제를 해결한 한국의 라디스 음용수 UV 살균기(LADIS_LAmp DISinfection)가 선보였다.

 

컨셉상에는 나무를 3D 스캔하여 소규모 가족 산림 소유자들이 탄소 배출권을 획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한국의 나무껍질 바코드(Bark-Code), 해양 생태계를 복원하고 재생 가능한 도시의 미래를 지향하는 영국의 블루가든(Blue Garden)이 선정되며 기후 위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솔루션을 제안했다.

 

TOP10 대상 결정전 당일에는 현장 투표와 관람객 참여 이벤트도 함께 진행되어, 디자인과 시민이 소통하는 축제의 장으로 꾸며진다. 시민은 현장에서 직접 투표를 통해 대상작을 선택할 수 있으며, 다양한 경품 이벤트와 전시 프로그램이 마련돼 즐거움을 더할 예정이다.

 

차강희 서울디자인재단 대표이사는 “서울디자인어워드는 단순한 디자인 시상이 아니라, 디자인을 통해 더 나은 세상을 만들어가는 공감의 플랫폼”이라며 “이번 라이브 심사를 통해 전 세계의 지속가능한 디자인이 시민과 함께 호흡하며 미래의 변화를 이끌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최인철 기자 sony4602@naver.com
뉴미디어타임즈 모든 콘텐츠(영상,기사,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대표/발행인 최** | 등록번호 : 경기, 아52943 | 등록일 : 2021-07-02 | 제보 메일 : unodos123@naver.com | 연락처 : 070-8680-8507 | 수원취재본부 : 수원시 팔달구 인계로 124번길 27-10 12층 1208-b1호 | 화성취재본부 : 경기도 화성시 팔탄면 신양2길 58 제에이동호 | 한국언론문화예술진흥원 본부 : 서초구 서초대로 65번길 13-10 청소년보호책임자 : 안용운 후원계좌 : 기업은행 685-042149-01-013 뉴미디어타임즈 기자후원 : 정진철 농협 302-0305-1195-01 성남취재본부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금상로 134 | 인천취재본부 : 인천광역시 연수구 비류대로433번길 21 | 파주취재본부 : 파주시 와석순환로 347 | 양평취재본부 : 경기도 양평군 지평면 지평시장2길 8 1층 | 여주취재본부 : 경기도 여주시 청심로 65 4층 | 평택취재본부 : 평택시 복창로 34번길 19-10 | 안성취재본부 : 안성시 공도읍 고무다리길 13-11 | 양주취재본부 : 경기도 양주시 옥정동 966-3 203호 | 의정부취재본부 : 경기도 의정부시 민락동 927-1 1동 904호 강남취재본부 : 강남구 역삼동 11길 20 a동 버베나하우스 a동 b01호| 강서취재본부 : 강서구 강서로47길108 | 관악취재본부 : 서울시 관악구 인헌23길 31 | 홍천취재본부 : 강원도 홍천군 홍천읍 너브내길181 | 제천취재본부 : 제천시 아세아1길6 세종취재본부 : 세종특별자치시 아름서1길 13-4 | 당진취재본부 : 충남 당진시 운곡로197-8 | 대구취재본부 : 대구 북구 내곡로 77 | 부산취재본부A : 동래구 충렬대로487 | 부산취재본부B : 연제구 쌍미천로 16번길 5-7 뉴미디어타임즈 모든 콘텐츠(영상,기사,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