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30 (수)

어제 방문자
5,006

의회

전남서 지방 최초 과기부 지방과학기술진흥협의회 열려

전남도 제안 ‘해양배터리 데이터 허브 플랫폼 기술개발사업 선정

 

전라남도는 30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지방과학기술진흥협의회가 전국 지자체 최초로 화순에서 열린 가운데 전남도가 제안한 ‘해양배터리 데이터 허브 플랫폼 기술개발’을 2026년 예산 연계사업으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과기부 국가 과학기술자문회의 산하 지방과학기술진흥협의회는 이날 화순 국가면역치료혁신센터에서 류광준 과기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위원장)과 박창환 전남도 경제부지사를 비롯한 각 시·도 부단체장, 관계부처 공무원 등 2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7회 회의를 열었다.

 

지방과학기술진흥협의회는 과기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을 위원장으로, 17개 시·도 부단체장과 기획재정부·교육부·과기부·산업통상자원부·중소벤처기업부 등 관계부처 실장급 공무원이 참여하는 협의체다. 지역 과학기술 정책과 사업을 조정·협의하는 기능을 한다. 협의회를 주관하는 과학기술혁신본부는 약 30조 원 규모의 정부 연구개발(R&D) 예산을 총괄하며, 예산 배분과 조정을 통해 국가 연구개발 사업의 효율성과 전략성을 높이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날 회의는 2022년 협의회 출범 이후 처음으로 서울이 아닌 지역에서 개최돼 국가 연구개발의 지역균형발전과 지방 과학기술 진흥이라는 협의회 설립 취지를 실현하는 상징적인 계기가 됐다. 특히 정부의 R&D 투자가 상대적으로 부족하고, 과학기술 기반이 열악한 전남에서 열려 더욱 의미가 크다.

 

회의에서는 지역별 과학기술혁신계획 수립 결과 및 지원방안, 지자체 2026년 예산 연계 사업 선정 결과(안) 등 주요 안건이 논의됐다.

 

특히 지자체 2026년 예산 연계 사업 선정 결과(안)에 전남도가 제안한 ‘해양배터리 데이터 허브 플랫폼 기술개발(2026~2030년·총사업비 250억 원)’이 포함됐다.

 

해양배터리 데이터 허브 플랫폼 기술개발 사업은 과기부가 2026년 신규 사업으로 예산을 요구할 계획이다. 전남도는 이번 사업을 통해 창출된 연구 성과를 지역 기업과 산업에 확산시켜 관련 산업을 본격 육성할 방침이다.

 

박창환 부지사는 “인공지능(AI), 반도체, 양자 등 기술패권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지방의 잠재력을 살린 지역 주도 R&D가 국가와 지방의 미래를 위해 꼭 필요하다”며 “현재 수도권과 대전에 집중된 정부 R&D 예산이 지역으로 고르게 배분되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국가면역치료혁신센터 2단계 사업 등 전남지역 산업 발전에 필요한 주요 R&D 사업예산 반영을 적극 건의했다.

 

류광준 본부장은 “지자체와 중앙정부가 한 팀이 돼 지자체별로 특화된 정책과 사업을 함께 기획하고 추진하도록 함으로써 과학기술을 통한 지역의 자생력 회복을 이루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