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망 확충부터 스마트 교통까지… 현장에서 답을 찾는 ‘사람 중심 정책’ 수도권의 교통 문제는 더 이상 서울만의 과제가 아니다. 경기도의 급속한 도시화와 인구 증가로 교통 인프라의 수요와 공급 간 불균형은 심화되고 있다.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는 이러한 현실에 대응하기 위한 최전선에서 활동하는 의회 조직이다. 본지는 허원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장과의 인터뷰를 통해 광역망 구축, 생활 밀착형 인프라 개선, 스마트·친환경 교통 등 경기도 교통정책의 현재와 미래를 들어보았다. Q. 위원장으로서의 각오와 철학은 무엇입니까? 안녕하십니까.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위원장 허원입니다. 저는 1,450만 경기도민의 발걸음을 하나하나 생각하며, 그 발걸음이 곧 삶의 질 향상으로 이어진다는 믿음으로 의정활동에 임하고 있습니다. 교통은 단순한 이동 수단이 아니라 사람과 사람, 일과 일상을 이어주는 혈관입니다. 건설은 그 위에 삶의 기반을 구축하는 축이지요. 이 두 축을 연결해 도민 여러분께 실질적인 변화를 전하는 정책을 제안하고, 늘 현장을 직접 살피며 “현장에 답이 있다”는 원칙을 지키고 있습니다. Q. 건설교통위원회는 어떤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까? 건설교통위원회는 도민
안성시 보개도서관에서 출판 프로젝트 미니자서전 ‘인생이 온다’ 과정을 마치고 7월 17일 출판기념회를 가졌다. ‘인생이 온다’ 는 보개도서관 프로젝트로, 자신의 인생을 돌아보고 삶을 성찰할 수 있는 특별한 글쓰기 강좌로, 삶의 여정을 기록하고 싶은 사람들에게 특별한 경험을 제공하고자 기획됐으며 글쓰기에 관심 있는 50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프로젝트를 운영했다. 이번에 총10명이 공저의 작가로서 자신의 인생에 관해 글로 쓰고 <인생이 온다>라는 도서를 정식으로 출간하게 되었다. 출판된 "인생이 온다" 도서는 교보문고에서 판매중이다. '춤추는책' 출판사 대표이자, "인생이 온다" 프로젝트를 이끌어 온 김영희 작가는 "이번 집필이 시작이 되어 각자 자신의 글을 쓰고, 인생을 글로 채우며 성장하는 작가가 되시길 바란다."며 축하메세지를 전했다. 이날 출판기념회를 통해 정식 작가로 데뷔한 10명의 신인 작가들은 앞으로 각자의 글을 쓰며 성장하는 작가가 되기를 소망했다. - 인생이 온다에 수록된 작가와 작품- *김란 작가 나이는 걸림돌, 디딤돌 *김준희 작가 인생은 여행 *남윤남 작가 정원 그리고 선물 *박미옥 작가 인생이 뒤통수를 치더라도 *여미선 작가
안성시 공도읍 38국도 확장공사 현장. 겉으로 보기엔 아스팔트가 깔끔하게 포장되어 있고, 차량 통행도 가능해 보인다. 하지만 그 아래는 여전히 문제투성이다. 공사의 관계자들은 하나같이 말한다. “7월 말까지 공사를 마무리하라는 일정이 있어서 그랬다.” 서울국토관리청이 정한 기한, 그리고 지역 국회의원의 일정 때문이다. 결국 시공사는 ‘속도’를 우선했고, 감리단은 이를 묵인했으며, KT는 협조하지 않았다. 그리고 그 틈에서 시민들만 피해를 감내하고 있다. “서두른다고 다 공사가 아니다” 감리단장이 “일정에 맞추느라 서둘렀다”고 밝힌 발언은, 시민 피해를 정당화할 수 없다. KT의 통신선 보완 공사는 이루어지지 않았고, 일부 구간은 보호관 없이 매설되어 철판과 케이블타이로 임시 고정해 놓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향후 통신망 단선과 재굴착을 유발할 수 있는, 예고된 실패다. 더 황당한 건 시공사 관계자가 “포장은 초벌 수준이며, KT 측에 3일 정도 시간을 줄 테니 피해자 측에서 요청해 공사를 하라”고 말한 것이다. 이는 KT와 협의했다는 기존 설명과 정면으로 배치되며, 시공사가 실질적 책임에서 한 발 물러선 모습으로 비쳐진다. 결국 이번 공사의 ‘완료’는 외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