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의회 강대길 의원은 14일 오전, 의회 2층 의원연구실에서 시 관계 부서, 센터관계자 등과 함께 ‘울산시 공익활동지원센터 현황 청취를 위한 간담회 가졌다.
이날 간담회는 지역사회를 위해 일하는 비영리 민간단체의 효율적인 공익활동 추진과 행정 지원 관련한 공익활동지원센터의 역할과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였다.
강대길 의원은 센터가 '울산광역시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공익활동 증진 및 지원 조례'로 설치ㆍ운영되고 현재 울산시 복지가족진흥사회서비스원에 위탁 운영 중이라며,
“공익활동이 지속 가능하기 위해서는 민간과 행정이 수평적 협력 관계를 바탕으로 제도적인 장벽을 줄여야 하며, 현장의 어려움을 듣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강대길 의원은 또한 공익활동 단체나 활동가들은 전문성을 갖추고 지역사회 발전에 공헌하고 있다며, 센터의 교육ㆍ컨설팅ㆍ네트워크 구축 등 활동 지원도 중요하지만,
현장의 목소리도 중요함을 강조하고 현재 공익활동을 하는 단체나 활동가들은 특히 보탬e 시스템(지방보조금관리시스템) 이용에 있어 사업 신청, 정산 과정에서 단체 관계자들이 시스템 사용의 어려움을 호소하고, 신규 단체나 소규모 단체가 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설명회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덧붙여 강대길 의원은 ‘공익활동지원센터’가 단순한 행정 지원 창구를 넘어 민간의 공익활동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는 ‘거점기관’으로 갈 수 있는 방향으로 가길 바란다고 했다.
이에 관계 부서와 센터관계자는 “시에서 보탬e 시스템의 기능을 직접 개선할 수 없지만, 관련 단체 담당자를 위한 정기 교육, 현장 컨설팅, Q·A 매뉴얼 보완 등을 통해 시스템 활용 능력 제고와 공모사업 설명회 등을 통해 단체 참여를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또한 시 관계자는 “공익활동의 실질적인 성과 창출을 위해 센터와 지속적으로 협의하겠다”고 했다.
강대길 의원은 센터는 공익활동 증진과 지원에 있어 효율적으로 운영되어야 한다며, 관련 단체나 활동가들의 의견에 충분히 귀를 기울이며 이들의 목소리를 대변할 수 있어야 함을 재차 강조하고, 특히 행정을 행함에 있어 일방향이 아닌 쌍방향의 행정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끝으로 강대길 의원은 “공익활동은 시민이 주체가 되어 지역을 변화시키는 원동력”이라며, 현장의 생생한 의견이 정책과 행정에 반영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해 주기를 관계 부서에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