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환자와 가족 모두가 자신 있게 살아갈 수 있도록 응원합니다.”
서울 강서구는 치매 환자에게 맞춤형 일자리를 제공함으로써 이들이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역할을 이어갈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강서구는 서울시에서 노인 인구가 두 번째로 많은 지역으로, 지난해 말 기준 65세 이상 추정 치매 환자가 약 9천여 명에 달한다.
이에 구는 단순한 돌봄을 넘어, 치매 환자와 가족 모두가 지역사회에서 당당히 살아갈 수 있도록 다양한 일자리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강서구치매안심센터는 ▲초록기억카페 바리스타 ▲치매안심마을 환경 조성 ▲치매안심약국 관리 등의 다양한 일자리 사업을 운영 중이다.
‘초록기억카페 바리스타’는 만 65세 이전에 치매 진단을 받은 초로기 치매 환자를 위한 프로그램으로, 이들이 카페에서 바리스타로 일하며 음료 제조와 카페 운영과 같은 자립적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치매안심마을 환경 조성’사업은 인지기능이 저하됐으나 일상생활이 가능한 경도인지장애 진단자가 참여하는 프로그램이다. 이들은 치매안심마을 4곳에서 공원 표지판 정비와 정류장 광고물 설치와 같은 마을 환경 개선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또, 치매 환자 가족을 위한 일자리도 지원한다. ‘치매안심약국 관리’일자리는 치매 환자 보호자들이 치매안심마을 내 209개 안심약국을 방문해 안내자료 비치 상태를 점검하고, 치매 환자 응대 지원 업무를 담당한다.
이 밖에도, 60세 이상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치매안심센터 및 초록기억카페에서 행정업무 및 시설 지원 등 일자리도 마련했다.
구는 향후 치매 환자의 자존감 회복과 인지기능 유지 지원을 통해 사회적 고립을 완화하고, 지역사회 내에서 의미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다 함께 행복한 복지 도시를 만들어갈 방침이다.
한편, 강서구는 녨년 우수행정 및 정책사례 선발대회’에서 ‘치매안심 우리동네 프로젝트’로 기초자치단체 부문 최우수상을 수상하며 치매에 대한 인식 개선과 치매 친화적 환경 조성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허담 강서구치매안심센터장은 “치매가 있어도 사회구성원으로서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도록 지원 체계를 강화하겠다”며, “치매 진단자와 보호자들이 사회 활동을 지속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진교훈 구청장은 “치매는 지역사회 전체가 함께 노력해야 할 문제”라며, “모든 계층이 각자의 역할로 함께할 수 있는 일자리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치매 친화적 사회 실현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