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1 (일)

어제 방문자
6,722

전국

서울시, 7만㎡ `바람길숲` 조성… 도시에 신선한 산·강바람 불어넣는다

시 “시민이 피부로 느끼는 녹색 복지 및 ‘탄소중립도시’ 실현 위해 지속 노력해 나갈 것”

 

서울 시내 30곳에 도시 주변 산․계곡․강에서 생성된 찬바람을 도시로 불어넣어 주는 ‘바람길숲’이 조성된다. 바람길숲은 도시에 갇힌 대기 오염물질을 배출하고 열섬현상을 완화해 주는 등 효과가 있다.

 

서울시는 지난 8월 말까지 시내 28개소에 ‘도시바람길숲’ 71,780㎡를 만든 데 이어 다음 달까지 2개소 2,500㎡를 추가로 조성, 올해 총 74,280㎡의 바람길숲을 조성한다고 밝혔다.

 

시는 지난 '23년부터 산림청과 협업해 지난해 강변북로 성수대교 녹지 등 7개소 18,040㎡, 올해는 남산 등 21개소에 53,740㎡를 추가 조성했다. 내달까지 성동구 성수초교 옥상(500㎡), 동대문구 망우로(2,000㎡), 두 곳에 바람길숲이 조성될 예정이다.

 

올해까지 서울에 도시바람길숲 74,280㎡(7.4ha)가 완성되면 이산화탄소 연간 약 51톤, 대기 오염물질 12,432kg를 흡수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숲 1ha는 이산화탄소 연간 6.9톤, 미세먼지 168㎏ 등 대기 오염물질을 흡수하고(국립산림과학원), 도시숲은 여름 한낮 평균기온을 3~7℃ 낮춰주는 효과가 있다(산림청)는 연구 결과가 있다.

 

시는 바람길숲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도로변 대기 오염물질 흡수․흡착력이 높고 탄소 저감의 효과가 큰 소나무, 배롱나무, 황금사철, 미선나무, 히어리, 박태기, 옥잠화, 억새 등을 중심으로 식재했으며 도시 매력을 고려하여 정원 요소를 가미해 다채롭게 조성했다.

 

남산, 서울숲, 중랑천, 능동로 등 주요 공원․하천․도로변 총 28개소에 ▴교목 1,195주 ▴관목 131,812주 ▴초화류 399,456본을 식재했다.

 

하층 숲이 조성되어 있는 가로수는 주변 온도를 4.5℃ 낮추며, 도시숲 안에 15분간 머물면 바깥보다 체온이 약 2~3℃ 내려간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산림청 도시바람길숲 조성·관리 실무가이드)

 

서울시는 올해까지 조성한 ‘바람길숲’ 효과를 시기별로 모니터링 및 분석하는 한편 앞으로 기후대응 도시숲, 자녀안심 그린숲 등 지역여건․주민 특성에 맞춘 도시숲 조성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시는 서울은 북한산, 도봉산, 관악산 등 큰 산에 둘러싸여 있고 도시 가운데 한강과 지천이 흐르고 있어 도시 외곽에서 하천․강을 따라 차고 신선한 산곡풍이 시내로 들어오기 유리한 구조적 특성을 가진 만큼 ‘바람길숲’ 조성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이수연 서울시 정원도시국장은 “바람길숲은 기후변화를 극복할 대안인 ‘숲’을 활용해 탄소흡수원을 조성하면서 도시 미관 개선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다”며 “시민에게 피부로 느낄 수 있는 녹색 복지를 제공 하고 탄소중립 도시 실현을 위해 ‘정원도시 서울’ 사업을 꾸준히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