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명균 경남도 행정부지사는 24일 오후 4시 행정안전부 주재로 열린 ‘범정부 복구대책지원본부 회의’에 참석해 도와 시군이 겪고 있는 수습·복구 과정의 애로사항을 알리고, 도민의 일상 회복을 위한 실질적인 복구 대책 마련을 정부에 건의했다.
이날 회의에서 도는 △피해 현황 △응급복구 추진상황 △이재민 지원 현황 △건의사항 등을 중심으로 현장의 어려움을 상세히 보고했다.
도는 현재까지 1만 3천여 명의 인력과 2천 3백여 대의 장비를 투입해 응급복구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일부 시군은 인력․장비․재원 부족 등으로 복구 추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설명했다.
박 부지사는 “단순한 응급복구와 인프라 정비를 넘어, 침수로 삶의 터전을 잃은 주민들이 생활 기반 복원을 위한 실질적 지원이 절실하다”며, 생활필수품 중심의 긴급 지원 확대를 강조했다.
현재 수해 피해 가구에 대한 가전제품 무상수리는 지원되고 있으나, 가구·식기류·침구류 등 생활필수품은 지원 대상에서 제외돼 피해 주민들의 일상 회복에 큰 제약이 되고 있다.
도는 또한, 산청군과 합천군이 특별재난지역으로 우선 지정된 데 이어, 진주·하동·의령·함안 등 추가 피해 지역도 기준을 충족하는 즉시 지정될 수 있도록 정부와 긴밀히 협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피해 유형에 따라 읍면동 단위까지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될 수 있도록 적극 검토하고 추진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응급복구비 및 장비 임차비 등 현장 중심의 신속 대응을 위한 특별교부세 추가 지원 △피해조사를 위한 전문조사단 지원 △주택 복구 기준 상향 등도 정부에 건의했다.
특히, 정확한 피해 규모 산정과 복구계획 수립을 위해 국가재난관리정보시스템(NDMS) 입력기한의 유연한 조정을 요청했으며, 조사 과정에서 피해 누락이 발생하지 않도록 정부 차원의 행정적 배려도 함께 건의했다.
경남도 관계자는 “행정적인 복구와 지원을 넘어, 도민의 회복을 위해 민·관이 함께하는 범도민적 회복운동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도는 피해 주민들이 하루빨리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