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9 (화)

어제 방문자
4,925

전국

춘천 전역이 무대다, 확 바뀐 막국수닭갈비축제

장소 도심 전역으로 확장, 세대공감 공연·체험도 다채

 

춘천시가 막국수닭갈비축제 전면 재편을 본격화한다. 올해 축제는 10월 16일부터 19일까지 나흘간 공지천 일원과 명동, 신북읍, 온의동‧남춘천역, 후평동 등에서 개최된다.

 

올해 막국수닭갈비축제는 축제 패러다임 자체를 전환했다. 기존의 단일장소 구성에서 벗어나 주 행사장을 공지천 하천변으로 지정하고 명동·온의동·후평동·신북읍 등 권역별로 행사장을 나눠 춘천시 전역을 축제 공간으로 만들 계획이다.

 

올해 축제 이름은 ‘All tastes, 2025 춘천막국수·닭갈비축제’로 정하고 메인 로고 슬로건은 “막닭을 ‘맞닥’ 뜨렸을 때, 온몸으로 전해지는 맛의 전율!”로 확정했다. 춘천을 대표하는 두 음식의 정체성을 젊고 감각적인 언어로 표현해 국내외 관광객의 이목을 끌 계획이다.

 

행사장 내에서는 테이크아웃 조리가 가능한 부스를 설치해 관람객 편의성을 높인다. 닭갈비는 △통나무집 △토담 △우성 △1.5 △산속의 △큰지붕 △장호 △명동명물 △비와별(애막골) △낙원동숯불 등 10개 업체가 참여하고 막국수는 유포리, 샘밭, 시골, 퇴계, 별당, 두메 등 6개 업체가 참여한다.

 

시민과 관광객의 체감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특별 프로모션도 함께 진행된다. 닭갈비는 1인분당 3,000원, 막국수는 1인분당 1,500원의 할인 혜택을 제공, 최대 7만 명이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지원한다. 현재까지 프로모션 참여 의사를 밝힌 업체는 닭갈비 70곳, 막국수 20곳으로 시는 추가 참여를 위해 지속적으로 설득에 나설 계획이다.

 

축제 콘텐츠도 대폭 달라진다. 야시장 중심과 트로트 위주의 무대 공연에서 벗어나 지역 맛집 부스와 농부의 시장, 푸드테크 전시관, 국제관 등 도심형 융복합 콘텐츠와 세대공감을 이끌 다채로운 공연도 열릴 예정이다. 축제 시기도 여름에서 가을로 조정해 날씨에 따른 불편을 줄이고 기간도 4일로 단축, 집중도를 높여 시민·관광객의 체류 만족도를 높인다. 막국수 뽑기 체험, 음식 가격 할인, 글로벌 전통놀이와 세계 음식 소개 등 체험 프로그램도 다양하게 구성된다.

 

운영 주체도 조직위 단독 운영에서 춘천시가 총괄하고 조직위, 문화재단이 합류해 공연·생활문화 콘텐츠 기획을 담당한다.

 

앞서 육동한 춘천시장은 지난 23일 시청 다목적회의실에서 2025 춘천막국수닭갈비축제 추진상황보고회를 개최하고 축제 개편방향과 부서별 협력사항을 점검했다. 시는 보고회 이후 세부 콘텐츠와 운영 방향을 더욱 구체화할 방침이다.

 

육동한 시장은 “춘천 전역이 축제의 무대가 되도록 확장하고 시민이 주도적으로 참여하고 즐길 수 있는 구조로 가야 할 것”이라며 “시민 의견을 충분히 듣고 다양한 주체와 긴밀히 논의해 새 방향으로 축제를 이어가야한다”고 당부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