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2 (화)

어제 방문자
8,387

전국

창원특례시, 외국인 주민‘소리펜’활용한 한국어 교육 큰 호응

한국어교육 기자재 ‘소리펜’으로 말문이 트이고, 마음도 열리게 하다

 

창원특례시는 다문화 외국인 주민들의 원활한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해 ‘소리펜’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을 운영한 결과, 높은 학습 효과와 교육 만족도를 이끌어 내고 있다고 2일 밝혔다.

 

지난해 가족센터, 외국인근로자지원센터 등 관내 외국인 관련 기관에 소리펜 110개를 보급한 데 이어 올해 추가로 220개를 보급하여 다문화가정, 이주여성 등 외국인주민들이 보다 효과적으로 한국어를 학습하고 지역사회에 조기 적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특히 외국인근로자지원센터에서는 산업현장 내 ‘찾아가는 한국어 교실’ 운영에 적극 활용하고 있다.

 

‘소리펜’은 한국어교육 교재에 접촉하면 해당 학습내용이 8개 국어(한국어, 영어, 러시아어, 중국어, 일본어, 베트남어, 몽골어, 캄보디아어)로 음성이 송출되는 전자펜이다.

 

이는 별도의 인터넷 접속이나 전자기기가 없이도 언제 어디서나 반복 학습이 가능해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

 

A 씨(베트남 출신 직장이민자)는 “한국에 온 지 2년이 됐지만, 언어 소통이 어려워 산업현장에서 공장장님이 늘 부담스러웠는데, 외국인근로자지원센터의 ‘찾아가는 한국어 교실’에 참여하고, 퇴근 후에는 소리펜을 활용해 반복 학습을 하면서 말문이 트여 동료들과도 한국어로 대화할 수 있게 되어 기쁘다.”라고 말했다.

 

또한, 한국어 수업을 진행하고 있는 평생학습센터 종사자 B 씨는 “소리펜 덕분에 다양한 언어로 안내가 가능해져 교사와 학습자 간 소통이 원활해졌다”며, “생활회화, 관공서 민원 표현, 자녀 학교 소통 등 실생활 중심 내용으로 구성되어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맞춤형 지도가 이루어졌다”고 소리펜의 효과성을 강조했다.

 

정숙이 자치행정국장은 “언어는 외국인 주민이 지역사회에 첫 발을 내딛는 데 가장 중요한 열쇠라며, 앞으로도 디지털 학습 기자재를 적극 활용해 더 많은 외국인 주민이 한국어를 배우고 지역 사회의 당당한 구성원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돕겠다”고 말했다. 이어 “‘찾아가는 한국어 교실’ 및 이중언어 가족 프로그램 등을 연계하여 다문화 교육의 질적 내실화를 도모할 계획이다”고 덧붙였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