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시는 지난 3일 코트야드 바이 메리어트 평택에서 ‘PATH 2025’(Pyeongtaek Advanced Technology Hub)를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평택시가 주최하고 평택산업진흥원이 주관했으며, ‘평택, 기술에서 길을 찾다’라는 표어 아래 평택이 반도체 중심 도시를 넘어 인공지능(AI)과 첨단기술을 아우르는 글로벌 혁신 거점으로 도약하겠다는 미래 전략을 공식 선포하는 자리였다.
이번 행사의 하이라이트는 정부와 지자체 최초로 선보인 AI 휴먼과 대규모 언어모델(LLM)을 결합한 ‘대화형 비전 선포 퍼포먼스’였다. 가상의 AI 평택시장이 무대에 등장해 학습한 평택시의 데이터 및 ‘평택, AI를 더하다’라는 미래 비전을 바탕으로 청소년·청년들과 직접 대화하며 평택시의 AI 비전을 공유해, 시민들에게 새로운 형태의 참여형 경험을 제공했다. 이와 같은 형식은 정부와 지자체를 통틀어 처음 시도된 것으로,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보기 드문 시도로 혁신적인 사례로 평가된다.
또한 이번 행사에는 청소년과 청년들이 함께 무대에 올라 AI 시장과 대화하며, 미래세대가 주인공이 되는 산업·도시·교육에 AI가 접목된 평택의 비전을 생생히 보여줬다. 더불어 시민의 목소리를 담은 인터뷰 영상도 상영돼 변화에 대한 기대와 공감을 나누며 현장의 열기를 더했다.
특히 이번 ‘PATH 2025’에서는 패널 토의에도 가상의 AI 평택시장이 함께 참여해 화제를 모았다. 기조연설자와 전문가 패널들과 나란히 의견을 나누며 미래 전략을 논의하는 모습은, 기술과 도시 비전이 실제로 어떻게 융합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장면이었다.
기조연설에서는 언바운드랩데브 조용민 대표가 ‘우리의 질문을 비웃는 AI, 우리는 무엇을 고민해야 하나’를 주제로 AI 시대의 도전과제를 짚었으며, 이어진 패널 토의에서는 이학주 평택산업진흥원장, 성균관대학교 김형태 교수, 한국과학창의재단 윤일규 실장, 그리고 가상의 AI 평택시장이 함께 참여했다.
토론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토론에서 공공에서의 AI 활용에 따른 위험 요소와 윤리적 쟁점을 짚으며, 신뢰성과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청소년·청년 세대의 인재 양성을 통해 지속 가능한 혁신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는 점도 함께 제시됐다.
이어진 전문가 세션에서는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이현익 부연구위원, 카이스트 전상훈 교수, 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 신상훈 교수가 참여해 대한민국과 평택의 반도체 산업과 미래 전략의 방향성에 대해서 논의했다.
이현익 부연구위원은 “평택이 국가 경제와 안보의 거점으로서 국제항과 미군 기지 등 지역적 강점을 활용해 화합물 반도체 시장에 적극 나서야 한다”라고 제언했으며, 전상훈 교수는 “카이스트 평택캠퍼스를 중심으로 산학연 협력과 정부 지원, 대기업과의 시너지를 통한 국가 전략 허브 도약”을 강조했다. 더불어 신상훈 교수는 “AI 반도체 시대에는 첨단 패키징과 에너지 효율 혁신이 필요하며, 국내 인재들이 글로벌 경쟁에 대비할 지식과 역량을 갖춰야 한다”라고 제언했다.
이번 행사에서 평택산업진흥원 이학주 원장은 “PATH 2025의 첫 개최는 평택시가 AI와 반도체를 미래 전략 산업으로 육성하겠다는 의지를 대내외에 알리는 출발점”이라며, “앞으로 산학연 협력과 인재 양성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정장선 시장은 “이번 PATH 2025는 평택이 AI와 반도체를 양축으로 미래 전략 도시로 나아가는 출발점”이라며, “특히 이번 AI 비전 선포 퍼포먼스를 통해 시민들께 첨단기술이 어떻게 행정과 도시 비전 속에 융합될 수 있는지, 또 이미 우리의 일상 가까이 다가와 있음을 직접 보여드릴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도 시민과 청년, 전문가가 함께하는 혁신 정책을 통해 평택을 글로벌 첨단도시로 성장시키겠다”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