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9 (월)

어제 방문자
3,962

의회

경상남도의회 “도, 창원대, 거창․남해 민․관 대학협의체 구성해야”

경상남도의회 김일수 의원 “통합 후 학과개편, 학생정원 조정 시 논의기구 필요”

 

김일수 의원(국민의힘, 거창2)이 통합대학 출범을 앞두고 있는 창원대와 양 도립대에 경남도와 거창․남해지역 민관이 어우러진 대학협의체 구성을 주장하고 나서 이목을 끈다.

 

이는 밀양대와 통합한 부산대가 최근 밀양시와 전혀 협의하지 않고 밀양캠퍼스의 학과를 대거 축소*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지면서 지역사회의 큰 반발을 사고 있는 것과 무관하지 않다.

 

김 의원은 “내년 3월이면 도립거창대는 창원대 거창캠퍼스가 되지만 지역 소멸의 보루인 ‘거창의 대학’임에는 변함이 없다”면서 “'오지개발촉진법'에 근거해 설립된 대학의 취지를 봐서도, 또 국립대 전환 후에도 경남도가 행‧재정적으로 지원한다는 점을 봐서도, 창원대 본캠퍼스와 거창‧남해캠퍼스 간의 관계로만 두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이어 “도립대의 생존과 직결된 학과 구조 개편이나 학생 정원 감축, 특성화 방향 조정 시에는 도와 도립대 구성원, 지역민의 목소리가 반드시 반영되어야 한다”며 이를 위해 창원대와 경남도, 거창‧남해군과 군민 등이 참여한 대학협의체 구성을 제안했다.

 

협의체는 도립대에 대한 창원대의 약속이라고 할 수 있는 ‘통합 이행계획서’에 반영되어야 하고, 가능하면 경남도 통합대학 지원 조례에도 담겨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통합은 하더라도 캠퍼스의 독자성은 어느 정도 보장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면서 “창원대 측에서도 대학 운영의 부담을 줄이고, 창원대 내부에서 나오는 통합 반대 목소리를 설득할 근거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김 의원은 도립거창대(7월 21일)에 이어 도립남해대(9월 15일)에서 ‘통합대학 지원 조례 논의를 위한 간담회’를 두 차례 개최했는데, 이 자리에서도 통합 후 양 도립대 존립을 위해 목소리를 내 줄 협의체 구성에 대한 요구가 쏟아졌다.

 

김 의원은 “협의체 구성이 이행협약서에 담겨야 하고, 이행협약서의 구체적인 내용이 최종적으로 나온 다음에야 통합대학 지원 조례 심사를 할 수 있다”며 “통합대학 지원 조례에도 협의체 구성을 명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창원대는 지난 5월 교육부로부터 통합승인을 얻은 후 ‘통합 이행계획서’를 제출하기 위해 용역을 수행하는 중으로, 오는 1일 중간보고회가 예정되어 있다.

 

창원대는 양 도립대와 통합을 바탕으로 글로컬사업에 선정됐고, 교육부는 향후 5년 동안 경남도의 예산 지원을 조건으로 통합을 승인했으나 창원대가 도의 지원이 종료되는 5년 이후 양 도립대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지 않아 우려를 낳고 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