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2 (수)

어제 방문자
12,065

전국

농촌진흥청, ‘골드키위, 안정 생산 박차’ 민관 합동 현장 평가회 개최

농촌진흥청, 10월 21일 제주에서 골드키위 평가회

 

농촌진흥청은 10월 21일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온난화대응농업연구소 시험 재배지에서 국내 육성 골드키위 안정 생산을 위한 현장 평가회를 연다.

 

이번 행사는 중앙‧지방 연구진, 민간 생산자로 구성된 키위 연구협의체*와 함께 품질 좋은 골드키위 생산 방안을 공유하고 현장 의견을 듣기 위해 마련했다.

 

최근 소비자들은 신맛이 강한 그린키위보다 당도가 높고 덜 신 골드키위를 선호한다. 이에 농촌진흥청은 2000년대 초반부터 ‘스위트골드’, ‘감황’ 등 총 11종의 골드키위를 개발, 보급해 왔다.

 

특히, 2015년 개발한 ‘감황’은 현재 42.9헥타르(ha)에서 재배 중이며, 2029년 70헥타르(ha)까지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보급에 힘쓰고 있다.

 

이번 평가회에서는 국내 육성 골드키위의 열매 수 관리 방법과 가지치기에 따른 환경 개선이 나무 생장과 열매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소개한다.

 

가지(결과지)당 열매 수를 2~3개로 조절하면 열매 수를 4개로 조절할 때보다 상품 가치가 높은 열매 비율(상품과율)이 2배 이상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여름 가지치기를 할 때, 열매 끝으로부터 잎을 하나도 남기지 않으면 가지치기 노동력을 3분의 1 수준으로 절감할 수 있지만, 잎 수 부족에 따른 광합성 산물 공급 감소로 품질이 떨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온난화대응농업연구소 전지혜 소장은 “이번 현장 평가회를 통해 연구진과 생산자가 함께 표준화된 골드키위 재배법을 마련할 계획”이라며 “개발된 기술이 현장에 빠르게 안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의견을 적극 반영하겠다.”라고 밝혔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