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7 (월)

어제 방문자
2,787

경기

경기도의회 박명수 의원, “생태하천 복원... 반복되는 오염, 관리체계 전면 재정비 필요”

 

경기도의회 도시환경위원회 박명수 의원(국민의힘, 안성2)은 17일 수자원본부 행정사무감사에서 도내 생태하천 복원사업이 지속적인 문제를 노출하고 있음에도, 사후관리 체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하며 경기도의 전면적인 관리체계 개선을 촉구했다.

 

경기도가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생태하천 복원사업 준공 후 5년간 사후관리를 실시하고 있으며, 현재 ▲이천 중리천, ▲용인 신갈천, ▲고양 벽제천, ▲가평 달전천, ▲시흥 옥구천, ▲부천 여월천, ▲오산 가장천, ▲용인 대대천, ▲성남 시흥천 총 8개 시·군 9개 하천이 관리 대상이다.

 

박 의원은 “복원사업이 추진된 하천에서 불명수 유입, 상류 개발지에서 흘러든 오염수·탁수, 생태계 교란종 확산과 같은 문제가 반복되고 있다”며 “원인을 규명하지 못한 채 모니터링만 반복하는 방식으로는 실질적인 개선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질타했다.

 

이어 “2025년부터 2027년 사이 준공될 하천만 6곳에 달해 관리 대상은 더 늘어날 예정”이라며 “지금과 같은 방식으로는 근본적인 오염원 차단이 어렵다”고 우려를 표했다.

 

이에 윤덕희 수자원본부장은 “생태하천은 본래 오염을 안고 있어 복원 이후에도 이전으로 돌아가려는 습성이 있다”며 “오염 유입을 차단하는 것은 물론, 하천 방류수 농도와 수질 변화를 지속적으로 점검하며 관리의 내실을 강화하겠다”고 답했다.

 

또한 “한강유역환경청, 국립환경과학원과 협력해 수질 개선과 생태계 복원이 실질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문제가 드러난 하천에 대해서는 원인 파악과 지자체 개선 조치를 적극 독려하고, 의원님 지적을 반영해 사후관리에 더욱 철저를 기하겠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박명수 의원은 “복원 후 관리가 미흡해 사업 효과가 반감되는 사례가 반복돼서는 안 된다”며 “경기도는 사후관리 체계, 상류 개발지 관리, 오염원 차단 전략을 아우르는 통합적 관리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