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대문구는 올해 8월부터 10월까지 관내 고시원·반지하·노후주택 등 취약가구 1,573곳을 대상으로 실거주 전수조사를 실시해 이 중 위기가구 505곳을 찾아 총 634건의 공공·민간서비스를 연계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올해 2월에 이어 2차로 이뤄졌으며 주민등록 사실조사 기간과 병행·추진했다. 담당 공무원과 통장, 이웃돌봄반(반장), 복지순찰대 등 총 215명의 인적안전망이 조사 대상 가구의 66.8%인 1,050곳을 직접 방문·확인했다.
발굴된 505가구의 위기 상황은 ▲경제적 어려움(17.0%) ▲열악한 생활환경(11.2%) ▲질병·정신건강 문제(10.9%) 등이 주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거동 불편 등 일상생활 유지 곤란(8.2%)도 다수 확인되는 등 중장년 및 고령 1인가구의 취약성이 두드러졌다.
연령 분포는 중장년 42.9%, 노인 35.3%, 청년 21.6% 순이며 남성 비율이 65.5%로 높아 남성 가구의 취약성이 뚜렷했다. 이들은 주로 반지하(33.4%), 고시원(27.8%), 노후 다가구(21.6%)에 거주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발굴된 위기가구에는 총 634건의 서비스가 빠르게 연계됐다. ▲기초생활보장, 긴급복지 등 공적지원 122건 ▲생필품·후원(금)품 등 민간서비스 지원 199건 ▲채무·금융 상담 등 기타 313건이었다.
구는 복지서비스 이용 경험이 없거나 탈수급 이후 도움이 필요해진 가구도 다수 확인하고 향후 정기 모니터링을 통해 관리할 계획이다.
통반장, 이웃돌봄반 등 서대문구 인적안전망의 참여는 이번 조사에서 두드러진 성과를 보였다.
구 관계자는 “현장을 잘 아는 인력이 동행하면서 접근이 어려웠던 가구도 문을 열어 조사에 응했고 은둔·부재 가구도 재방문을 통해 추가 발굴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서대문구는 발굴 가구에 대한 정기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상시 조사 체계를 운영할 계획이다. 또한 동별 인구·주거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발굴계획을 수립해 실거주 기반의 선제적 복지 행정을 더욱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이성헌 구청장은 “도움이 필요한 주민을 먼저 찾아가는 것이 복지사각지대를 줄이기 위한 가장 직접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이라며 “촘촘한 안전망 구축으로 고립과 위기가 발생하지 않는 서대문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에 따른 한 사례를 살펴보면 남가좌1동에 거주하는 A씨(남, 67세)는 이혼 이후 가족관계가 해체된 상태로, 보증금 없는 월 25만 원 월세에 거주하며 취사 시설도 제대로 갖추지 못한 채 생활하고 있었다.
과거 8천만 원의 채무로 파산한 뒤 최근까지 이어진 국민건강보험료 3년 체납과 휴대전화 소액결제 사기로 생계는 더욱 악화됐다. 통장계좌까지 압류되면서 월 50만 원의 일용직 소득으로는 버티기 어려운 상황이었다.
또한 거주 건물이 철거를 앞두고 있어 이주해야 했지만 소득 때문에 기초연금과 주거급여가 중지된 상태라 공적 주거지원 자격도 충족되지 못했다. 더구나 치아 발치로 영양 섭취가 어려워 식사도 제대로 하기 힘든 상황이었다.
이번 실태조사 과정에서 몇 차례 재방문을 이어간 끝에 상담이 이뤄졌고 서대문구는 즉시 국가형 긴급생계비 및 돌봄SOS센터 식사 지원 대상으로 선정하는 한편 주거이전 및 임대주택 서비스 등 민간자원을 연계했다.
나아가 똑똑문안서비스(안부확인서비스)를 통해 정서적 고립을 예방하고 서대문종합사회복지관 희망온돌 지원과 지역 인적안전망을 통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체계도 마련했다.
A씨는 “앞날이 막막해도 도움을 요청하는 게 어려웠는데 먼저 손 내밀어주신 덕분에 다시 일어설 힘이 생겼고 누군가가 나를 찾고 있다는 사실에 위로가 됐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