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창원특례시는 29일 수출 중소기업의 탄소규제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해 추진 중인 지원사업과 정부 공모 선정사업인 디지털 자동화 MRV(탄소배출량 측정·보고·검증) 시스템 구축사업’에 대한 현장 점검을 실시했다.
이번 점검은 2026년 시행 예정인 EU 탄소국경조정제도(CBAM)에 대비해 중소기업의 대응력을 강화하고자 추진 중인 창원시 컨설팅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정부 공모사업에 선정된 기업의 설비 설치 및 운영 현황을 점검하고 실질적인 지원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창원시의 지원사업은 수출 중소기업의 글로벌 탄소규제 대응력 강화를 위한 전략 사업으로 총 20개 기업이 참여 중이며, 이 가운데 9개 기업이 중소벤처기업부 공모사업에 선정되어 국비 5억 3,200만 원을 포함한 총 7억 2,800만 원의 사업비를 확보했다.
현장 점검에서 창원시는 기업 관계자들과 함께 설비 및 시스템의 활용 현황과 기대효과를 확인하고, 추진 과정에서의 애로사항을 청취했다. 기업들은 탄소중립 설비 구축과 관리·운영 과정에서 필요한 기술적·재정적 지원, 그리고 국제 규제 대응을 위한 추가 지원의 필요성을 건의했다.
이에 창원시는 향후 컨설팅과 연계한 실질적 지원 방안을 검토하고, 기업들이 안정적으로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협력해 나갈 계획이다.
이유정 기후환경국장은 “글로벌 탄소규제가 강화되는 가운데 중소기업의 수출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탄소배출량을 줄이고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역량 확보가 필수적”이라며, “창원시는 앞으로도 산업 경쟁력 강화와 지속 가능한 발전을 목표로 기업들과 함께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을 실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