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7 (금)

어제 방문자
14,309

특별기사

안성시 농가 신품종 재배정책, “현장 중심으로 전환해야”

농가가 원하는 품종 지원, 기술·판로 연계 없이는 실효성 한계

 ㅡ 농가가 원하는 품종 지원, 기술·판로 연계 없이는 실효성 한계 –

 

안성시가 최근 지역 농가의 요구를 반영해 신품종 구입과 재배를 지원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농가 소득 증대와 지역 농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긍정적인 방향으로 평가되지만, 단순한 종자 지원과 시범재배 중심의 행정에 그칠 경우 실질적인 성과를 내기 어렵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현재 안성지역 농가들은 기후 변화, 인건비 상승, 기존 품종의 수익성 저하 등으로 인해 새로운 품종 도입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시장성 검증 없이 보급된 신품종의 경우 판로 부재나 재배 실패로 이어지는 사례도 있어, 농가들이 신중한 접근을 요구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정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농가가 원하는 품종을 지원하는 것”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품종 선정에서부터 기술교육, 유통 연계, 리스크 관리까지 이어지는 통합 구조로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특히 농가·농업기술센터·유통업체가 함께 참여하는 ‘품종선정 협의체’ 구성과, 품종별 전문 재배기술 교육 확대가 필수적이라는 목소리가 높다. 또한 시범재배 성공 여부와 판매 계약 체결 실적에 따라 보조금을 지급하는 ‘성과연계형 지원’ 방식도 현실적인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와 함께 신품종의 안정적 정착을 위해 가공·저장시설과 연계한 판로 확보, 지역 브랜드화를 통한 부가가치 창출도 요구된다. 안성시가 보유한 로컬푸드 매장, 가공지원센터 등의 인프라를 활용해 신품종 특화 제품 개발을 추진한다면 지역농업의 새로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역 농업 관계자는 “농가가 원하는 품종을 지원하는 것은 출발점일 뿐, 그 품종이 시장에서 팔리고 농가의 소득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행정이 책임 있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안성시의 이번 신품종 재배정책이 단발성 보조에 그치지 않고, 농가와 행정이 함께 성장하는 지속 가능한 농업정책으로 자리 잡기를 기대한다.

국민통합시민연대 경기도본부장 김장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