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1 (화)

어제 방문자
7,637

의회

부산시의회 이종환 의원, 부산의 밤과 휴일, 아이들 돌봄은 더욱 견고해야

연장·휴일 보육 실태 점검… 부모 근무시간에 맞춘 맞춤형 돌봄 강화해야

 

부산시의회 복지환경위원회 이종환 의원(강서구1, 국민의힘)은 11월 11일, 제332회 정례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여성가족국을 대상으로 부산시의 연장보육 및 휴일보육 운영현황을 면밀히 점검하며, “보육 공백은 곧 안전의 문제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야간·휴일 돌봄 인프라를 적극 확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종환 의원은 “올해 부산에서는 부모가 부재한 밤 시간대에 발생한 화재사건으로 어린 자매가 숨지는 안타까운 일이 있었다”며, 돌봄 공백이 생명과 직결된 문제임을 보여준 대표적 사례라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야간근무, 맞벌이, 한부모가정이 늘고 있는 현실에서 이 수치는 매우 부족하다”며, “특히 강서구 등 외곽 지역은 야간·휴일보육 시설이 전무하거나 접근성이 떨어져 사실상 이용이 어렵다”고 지적했다.

 

특히, 이 의원은 현재 ‘365 열린시간제 보육’ 시설을 2024년 8개소에서 2025년 10개소로 확대했지만, “시설 수를 늘리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며, “이용률과 운영 효율성을 면밀히 분석해 지속 가능한 돌봄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이 의원은 “교육청이 운영 중인 24시간 긴급보육센터도 2024년 30개소에서 2025년 29개소로 축소됐고, 이용 저조 등을 이유로 2026년에는 더 줄어들 예정”이라며, “이대로 가면 긴급 상황에서 아이를 맡길 곳이 사라질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이종환 의원은“부모의 근무시간과 생활 패턴은 다양해지고 있는데, 보육제도는 여전히 획일적”이라며“시청과 교육청, 지역사회가 협력해 돌봄공백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공동 대응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끝으로 이종환 의원은 “부산시가 내년 예산 편성 시 보육교직원의 야간근무수당, 안전장비, 휴게시간 보장 등을 포함한 ‘현장 체감형 지원 예산’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시설 중심에서 사람 중심으로, 양적 확충에서 질적 전환으로 보육정책의 무게중심을 옮겨야 한다”고 당부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