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4 (화)

어제 방문자
9,105

특별기사

용인시 118억 광고비 집행 논란... "언론 감시 아닌 홍보 수단화 의혹"

상위 20개사에 42% 집중, 265개 언론사 선정 기준은 불투명

 

용인특례시가 3년 8개월간 265개 언론사에 118억 5천만원의 광고홍보비를 집행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예산 집행의 형평성과 투명성을 둘러싼 논란이 일고 있다.

시민단체 용인블루(대표 박용환)가 3일 정보공개청구를 통해 입수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용인시는 2022년 1월부터 2025년 8월까지 월평균 2억 7천만원에 달하는 광고홍보비를 집행했다. 이는 옥외광고(17억 4천만원)와 온라인 광고(8억 1천만원)를 제외한 금액으로, 실제 총액은 이보다 더 많다.

 

"큰 언론사만 배불리는 구조... 형평성 어디에"

특히 논란의 중심에 있는 것은 광고비 배분의 심각한 불균형이다. 상위 20개 언론사에만 49억 5,400만원이 집중됐다. 이는 전체 집행액의 41.8%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MBN에 3억 6천만원, OBS에 3억 5천만원, YTN에 3억 1천만원이 집행된 반면, 일부 언론사는 100만원만 받았다. 같은 '언론사'라는 이름으로 묶이지만, 실제 지원 규모는 최대 360배 차이가 난다.

 

"신생 언론 육성은 없고, 대형사 퍼주기만"

더욱 의문스러운 점은 265개라는 방대한 언론사 숫자다. 용인시 인구 110만을 고려하면 과도한 규모지만, 정작 신생 언론사나 소규모 매체에 대한 실질적 지원은 찾아보기 어렵다.

CNB뉴스, e-장애인신문 등에는 100만원만 집행됐다. "예산이 없어 광고를 못한다"던 시의 변명이 무색한 대목이다. 결국 이는 신생 언론의 성장을 돕는 구조가 아니라, 기존 대형 언론사에 예산을 몰아주는 시스템이라는 비판이 제기된다.

 

"언론은 감시자인가, 홍보자인가"

용인블루는 "이는 단순한 홍보가 아니라 시정에 우호적인 여론 형성을 위한 '언론 관리' 의혹이 짙다"고 지적했다.

용인신문(2억 2,900만원), 용인시민신문(1억 9,500만원) 등 다수의 지역 언론에 상당한 예산이 배분된 점도 논란이다. 언론이 권력의 감시자 역할을 해야 하는데, 오히려 시의 홍보망으로 전락한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한 지역 언론인은 "광고비 의존도가 높아지면 시정 비판이 어려워진다. 이는 건강한 언론 생태계를 해친다"고 말했다.

 

"혈세 118억, 어린이집 20곳 지을 돈"

박용환 용인블루 대표는 "118억원이면 국공립 어린이집 20곳을 설립하거나 청년 5,900명에게 월세를 지원할 수 있는 막대한 예산"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용인 르네상스' 같은 화려한 구호의 홍보보다 출퇴근 교통 문제, 보육 시설 부족, 소상공인 지원 등 시급한 민생 문제 해결이 우선"이라고 강조했다.

 

시민단체, 5가지 요구사항 제시

용인블루는 용인시에 다음을 요구했다.

▲즉각 해명 = 265개 언론사 선정 기준, 광고비 산정 근거, 효과 측정 결과 공개

▲투명한 공개 = 언론사별 계약서, 광고 집행 내역, 효과 분석 보고서 전면 공개

▲집행 중단 = 효과성 불분명한 광고비 집행 중단, 2026년 예산을 민생 예산으로 전환

▲제도 개선 = 외부 전문가 심사 의무화, 집행 후 효과 공개 제도화

▲감사 청구 = 경기도와 감사원에 적정성 감사 요청

 

용인블루는 "무슨 기준으로 누구를 위해 이 돈이 쓰였는지 명확한 해명이 필요하다"며 "시민의 혈세가 불투명하게 집행되는 것을 막기 위한 감시를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표] 용인시 광고홍보비 집행액 상위 20개 언론사 (2022.1~2025.8)

 
순위 언론사 집행액
1 MBN 3억 6,027만원
2 OBS 3억 5,000만원
3 YTN 3억 1,000만원
4 경기일보 2억 8,900만원
5 중부일보 2억 7,595만원
6 경인일보 2억 7,000만원
7 인천일보 2억 6,350만원
8 SBS 2억 6,286만원
9 뉴시스 2억 4,868만원
10 연합뉴스TV 2억 4,500만원

 

 

※자료: 시민단체 용인블루 (용인시 정보공개청구 자료 재구성)

 

 


배너